PART2 강좌에서는 nParticle을 논리적인 수치, 코드로 제어시켜 모션을 만들어 낼 수 있는 Particle Expression을 기본적인 방법과 개념을 알아볼 것입니다. 그 과정을 통해 Instancer, Sprite, Curve Flow와 같은 상황을 expression으로 통제해볼 것이며, nParticle을 Arnold Renderer로 렌더링 시키는 방법 또한 학습할 것입니다. 부가적으로 Liquid Simulation, nParticle to Polygon 기능을 사용해서 nParticle의 운동 상태를 보통의
Maya 2020 버전이 가진 효과와 모션 작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본 기능을 입문하는 과정으로, PART1에서는 전통적인 Rigid Body와 nParticle의 기초적인 입문을 위주로 학습합니다. 오브젝트를 Rigid Body로 만들어서 충돌하거나 필드의 영향으로 모션이 발생되도록 해보고, nParticle을 이용하여 입자 기반의 효과와 모션을 만들어 봅니다. 또한 Soft Body의 구조와 함께 Instancer, Sprite 같은 형태의 이점도 같이 알아 볼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PART8 강좌 내용에 이어서, joint 기반 애니메이션을 위한 사용될 수 있는 IK Spline handle, Blendshape, Paint Skin Weight 등의 기능을 정리하면서 간단한 캐릭터 를 위한 리깅구조를 만들어 봅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캐릭터 리깅 작업의 흐름과 개념을 알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expression을 위한 전반적인 입문 과정을 진행하여 전통적인 키 프레임 방식이 아닌, 수학적 수식이나 논리적 제어 방식의 코드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을 익힐
이 과정에서는 Maya의 애니메이션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나씩 알아 봅니다. 각종 deformer의 작동 개념과 쓰임을 정리해보고, 캐릭터 애니메이션 구조를 만들기 위해 기본 구조로 사용되는 Joint, IK Handle, Bind Skin 같은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과 간단한 작업을 진행해서 실제 작업이 이뤄지는 전체적인 흐름을 확인해둘 것입니다. 이것은 결국 가장 기초적인 Rigging 작업이 어떻게 이뤄지는 지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Maya의 기본 애니메이션 기능의 작동 개념과 방법을 정리합니다. 가장 기초라 할 수 있는 키 프레임 방식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전반적인 작업을 진행해보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핵심 기능인 set driven key, constrain, motion path 기능의 역할도 같이 알아볼 것입니다. 부가적으로 영상과 사운드 파일을 가지고 와서 이용하는 방법과 애니메이션 작업을 비디오 파일로 간단히 프리뷰시키는 playblast 기능도 다룰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Arnold Renderer가 가진 라이팅 타입을 실험해보고, hypershade를 위한 여러 노드의 역할과 기능을 알아봅니다. 마야의 기본 라이트의 역할과 함께 IES 파일 기반의 라이트, 물리적인 사실성을 가진 physical sky를 실험할 것입니다. 특히 마야의 기본 재질 편집 시스템인 Hypershade를 사용하는 작업 방법과, 여러 쉐이딩 작업에 이용 컬러 연산, 색보정, facing ratio, curvature 등등 쉐이딩 작업에 도움을 주는 유틸리티 노드의 구체적인 역할과 시각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알아
이 과정에서는 Maya의 기본 렌더링 시스템인 Arnold Renderer를 중심으로 마야 렌더링의 전반적인 작업 과정을 알아봅니다. 기본적인 작업 흐름을 먼저 익히고, 라이팅, 쉐이딩, 렌더링 작업에 이용되는 기초 개념과 기능들을 하나씩 알아 볼 것입니다. 그 이후 전체 작업을 다시 정리하는 차원에서 간단한 렌더링- 출력 작업을 진행하여, Cryptomatte 패스를 가진 exr 출력 파일을 포토샵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요령까지 학습하게 될 것입니다.
PART4 에서는 그 동안 배운 모델링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체를 만드는 실습을 진행합니다. 동시에 UV 작업도 진행하고 deformer, motion path 같이 애니메이션 기능을 모델링 관점을 활용하거나 브러쉬 기반으로 유기적인 모델링을 할 수 있는 sculpting 방법도 진행합니다. 완성된 모델링에 대해 테스트 렌더링을 진행하고 wireframe 결과를 얻는 방법도 같이 알아 보고, Paint Effects를 모델링 관점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마야 폴리곤 모델링의 전체적인 관점을 정리하게 될
PART 2 강좌에 이어 폴리곤 모델링 기초 학습 과정을 이어 갑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Curve의 생성과 편집과 같이 NURBS 기반 모델링 기능을 폴리곤 모델링 관점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그 효율성을 확인 해 봅니다. 또한 이미지를 오브젝트에 씌우는, 이른바 이미지 맵핑을 위해 필요한 UV 작업의 기초 개념과 방법도 같이 알아보면서 폴리곤 텍스쳐링 작업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학습해 봅니다.
현대의 3D 그래픽 작업에 있어서 모델링은 가장 처음 단계에서 시작되는 근본적인 작업 과정으로, 3차원 형태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폴리곤 방식의 모델링을 통해 현대의 3D 그래픽 작업이 이뤄지는 중요한 맥락도 같이 엿볼 수기 때문에 입문자에게는 필수적인 지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마야 2019 버전이 가진 모델링 기능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면서, 모델링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초적 개념과 작업 요령도 같이 학습해 나갈 것입니다.